戚振宇早期创作了大量拉坯成型的器皿作品,主要表现的是泥性的柔软,而到韩国留学后,创作思路发生变化,用泥土来探讨刚硬与柔软的对比,表现某种对立又统一的矛盾感。他将泥条的矩阵排列造型解构又重组,表现泥性的刚硬,又用割线随意割出波浪纹曲面,表现泥性的柔软。戚振宇谈到,他喜欢建筑的严谨和秩序感,同时也受到康定斯基带有音乐性的抽象作品的启发,借助立体构成的方法做刚、柔对比,探索陶瓷材料的韵律感和秩序感。为了强化造型上的对比,选用色彩比较单一的金属锰釉以及白色化妆土,突出作品的造型和结构,以及泥土材质的可能性。
In his early stage, Qi Zhenyu created a large number vessels made by wheel, mainly expressing the softness of clay. However, after studying in South Korea, he changed ideas from before, he used clay to discuss the contrast between hardness and softness, showing a sense of contradiction between opposites and unity. He deconstructs and recombines the matrix arrangement of clay strips to show the hardness of clay, and cuts wavy curved surfaces with wire to show the softness of clay. Qi Zhenyu said that he liked the preciseness and sense of order of architecture and was also inspired by Kandinsky's musical abstract artworks. He used three-dimensional shape to make contrast of hard and soft, to explore the sense of rhythm and order of ceramic materials. In order to strengthen the contrast shape, we choose a relatively simple color manganese metal glaze and white Engobe to highlight the structure of artworks, as well as the possibility of clay.
쥐전위는 초기에 물레성형 기법으로 많은 그릇 작품을 제작하였으며, 그 작품들은 주로 점토의 부드러운 성질을 표현하였다. 그러나 한국으로 유학을 떠나게 되면서, 창작에 관한 생각에 변화가 생기게 되었다. 그는 점토를 통해 단단함과 부드러움의 대비를 탐구하였고, 일종의 대립하면서도 통일된 모순적인 느낌을 표현하고자 했다. 또 그는 격자로 배열된 점토 조형을 해체한 후 재구성하여 점토의 단단한 성질을 표현하였고, 다시 절단선을 사용하여 손이 가는대로 파도 무늬의 곡면을 잘라냄으로써 점토의 부드러운 성질을 나타냈다. 이에 대해 쥐전위는 자신이 건축물의 빈틈없고 질서정연한 느낌을 좋아하지만, 이와 동시에 음악성을 지닌 칸딘스키의 추상 작품에 영감을 받았기에, 입체로 구성하는 방법을 통해 단단함과 부드러움의 대비를 나타내고, 도자기 재료의 운율감과 질서정연한 느낌을 탐구하였다고 했다. 그의 작품은 조형의 대비를 부각하기 위해서 색채가 비교적 단조로운 금속 망간 유약(釉药)과 흰색 화장토(化妆土)를 사용했으며, 이로써 작품의 조형과 구조, 그리고 점토 재질의 가능성을 두드러지게 하였다.
他一直秉承一个创作观念,被人忽视的细节里也蕴含着美感,他想尽可能展示容易被观众忽视的地方,比如器物的底部、雕塑的底部等。所以在布展的时候,特意将反光板放到作品底部,展示作品下半部分不容易被人看到的结构,矩阵排列的泥柱也在镜面的负空间中继续延伸。尤其让他惊喜的是,展厅的射灯把光反射到墙上,留下作品的投影,形成重叠迷幻的光影效果,使作品和展示空间产生了美学上的关联。
He has an artistic concept, there is beauty that hide in detail which is always been neglected. he wants to show place that easy been neglected as much as possible by the audience, such as the bottom of the utensils and sculptures . Therefore, when the exhibition is arranged, he the is placed reflectors at the bottom of the work deliberately ,to show structure of lower part of artworks that not easy to be seen by audience. The matrix of clay strips is also to be extended in negative space of mirror. In particular, he was pleasantly surprised to find that spot lightings in the exhibition hall reflected light onto the walls, leaving shadow of artworks, creating a mysterious atmosphere of light and shadow, creating an aesthetic connection between artworks and exhibition space.
그는 줄곧 한 가지 창작 관념 즉, 사람들이 주의하지 않는 디테일에도 아름다운 느낌이 담겨있다는 생각을 고수해왔다. 그는 관객이 쉽게 지나치게 되는 기물의 밑단 또는 조각의 하단 등과 같은 부분을 사람들에게 보여주고자 힘썼다. 그리하여 전시회에서 작품을 배치할 때 반사판을 작품 아래에 설치했고, 이로써 잘 보이지 않는 작품 아랫부분의 구조를 드러냈다. 마찬가지로 격자로 배열된 점토 기둥은 거울의 네거티브 스페이스에서 끊임없이 확장하게 되었다. 전시회에서 가장 놀라운 부분은 전시장의 조명이 벽에 반사되어 작품의 그림자를 남겼고, 이 그림자들은 겹겹이 쌓여 몽환적인 조명 효과를 이루어 작품과 전시 공간은 미학적인 측면에서 연관성을 지니게 되었다는 것이다.
在创作的过程中他反问自己,如果是用矩阵排列来表现泥土的秩序感,为何不选择3D打印?毕竟机械的精确性远远超过手工制作。但最终他还是选择纯手工制做,因为《秩序》系列作品需要一部分无意识创作的参与,这是机械不能做到的,也是手工制作不能被机械代替的原因。他需要用无意识的随意切割和有意识的矩阵排列来探讨泥性的刚与柔、韵律与秩序、感性与理性,这是认识自我矛盾的过程,也是对留学生涯的阶段性总结。
In the process of creating these sculptures, he asked himself, if matrix arrangement is used to express the sense of order of clay, why not choose 3D printing? After all, mechanical accuracy is far better than manual manufacturing. But in the end, he chose to make it purely by hand, because the series of "Order" requires the participation of some unconscious movement, which cannot be achieved by machinery, and this is exactly the reason why manual production cannot be replaced by machinery. He needs to explore the hardness and softness, rhythm and order, sensibility and rationality of clay by means of unconscious random cutting and conscious matrix arrangement. This is a process of understanding self-contradiction and a phased summary of his life of study in overseas.
그는 창작하는 과정에서 자신에게 “만약 격자 배열로써 점토의 질서감을 표현할 것이라면 왜 3D 프린팅을 사용하지 않는가?”라는 질문을 던졌다고 한다. 따지고 보면 기계의 정확성은 수작업보다 월등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결국에는 수작업으로 제작하기로 결정하였는데, 그 이유는 <질서> 시리즈 작품을 창작하기 위해서는 약간의 무의식이 필요했었는데, 이 부분은 기계가 할 수 없는 부분이기 때문이다. 이 또한 수작업은 기계로 대체할 수 없는 이유이기도 하다. 그는 무의식적으로 절단하는 것과 의도적인 격자 배열을 통해 점토의 단단함과 부드러움, 운율과 질서, 감성과 이성 등 성질을 탐구하였다. 이는 자아의 모순적인 부분을 인식하는 과정이자, 유학 생활이라는 단계에 대한 총정리이기도 하다.
在韩国的三年多时间里,戚振宇还参与了多项中韩两国大型环境陶艺的制作、安装、展示过程,积累了丰富的实践经验,亲历了中韩两国陶艺界的友好往来。他认为,中国和韩国都有上千年的陶瓷文化发展史,在现代艺术和西方文化的冲击下,都经历了对传统陶瓷艺术的反叛,并与西方文化激烈碰撞,开始了各自的现代陶艺探索之路。两国陶艺家面临共同的机遇和挑战,也同样展现出了探索精神。尤其在全球互联的大背景下,如何认识自我,如何展示本国的文化特色,如何在古老的陶瓷艺术中找到时代的脉搏,如何在后疫情时代适应新的创作环境,让两国在现代陶艺的探索之路上殊途同归。
Qi Zhenyu also participated in the process of production, installation and display of a number of large-scale environmental ceramics artworks in China and South Korea for more than three years, he has accumulated rich practical experience and witness the cultural exchanges between ceramic circles of China and South Korea. He believes that both China and South Korea have thousands of years of ceramic art history. Under the impact of modern art and Western culture, they both experienced the rebellion against traditional ceramic art and western culture, both two countries started their own exploration of modern ceramic art. They all face the same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show the spirit of exploration. Especially in the context of global interconnection, how to recognize ourselves, how to display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our own country, how to find the pulse of our times in ancient ceramic art, how to adapt to the new environment in the pandemic era, China and South Korea meets each other in the path of explore modern ceramic art.
한국에서 보낸 3년이 넘는 기간 동안, 쥐전위는 한중 양국의 대형 환경도예를 제작, 설치, 전시하는 과정에 여러 차례 참여했으며, 이 과정에서 풍부한 경험을 쌓았고, 한중 양국 도예계의 우호적인 교류를 직접 체험하였다. 그는 이에 대해 “중국과 한국은 모두 1,000년이 넘는 도자기 문화의 발전 역사를 지녔고, 현대 예술과 서양 문화에 영향을 받으며 전통 도예에 대한 반항을 겪었다. 게다가 서양 문화와 격렬하게 부딪히면서 각각 현대 도예로 나아가는 자신만의 길을 개척하기 시작했다. 특히 전세계가 인터넷으로 연결돼있는 거시적인 배경에서 자아를 어떻게 인식하고, 자국의 문화 특징을 어떻게 선보이고, 오래된 도예에서 어떻게 시대의 발전 추세를 발견하고, 펜데믹 이후 새로운 창작 환경에 어떻게 적응할 것인지에 관한 해답을 찾게 된다면 한중 양국은 현대 도예를 개척하는 길에서 다른 길로 나갔지만, 결국에는 같은 목적지에 도달할 수 있을 것이다”라고 여겼다.